Skip to content

young's devlog

[SQL 첫걸음] 28. 인덱스 구조

SQL 첫걸음, MySQL2 min read

테이블에는 인덱스를 작성할 수 있다. 인덱스를 지정하면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1. 인덱스

인덱스는 테이블에 붙여진 색인으로 검색 속도를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테이블에 인덱스가 지정되어 있으면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음으로 WHERE로 조건이 지정된 SELECT 명령의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책의 목차나 색인에 제목, 키워드별 페이지 번호가 적혀있듯,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에는 검색 시에 쓰이는 키워드와 대응하는 데이터 행의 장소가 저장되어 있다.

인덱스는 테이블과 별개로 독립된 데이터베이스 객체이다. 그러나 인덱스만으로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테이블에 의존하는 객체라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을 삭제하면 인덱스도 삭제된다.

2. 검색에 사용하는 알고리즘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에 쓰이는 대표적인 검색 알고리즘으로는 이진 트리해시가 있다.

이진 트리는 탐색 방법이라기보다 데이터 구조에 가깝다.

여기에서의 탐색 방법은 이진 트리를 사용하는 이진 탐색이라 생각하면 된다.

풀 테이블 스캔(full table scan)

인덱스가 지정되지 않은 테이블을 검색할 때는 풀 테이블 스캔이라 불리는 검색 방법을 사용한다.

테이블의 모든 값을 처음부터 차례로 조사하는 방법으로 1000건의 데이터가 있다면 1000번 값을 비교한다.

이진 탐색(binary search)

차례로 나열된(정렬된) 집합에 대해 유효한 검색 방법이다. 순서대로 모든 값을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집합을 반으로 나누어 조사하는 검색 방법이다.

만약 책이 한 권 있고 우리가 451페이지를 찾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쓰는 방법을 생각해보면 책의 중간쯤을 펴고 만약 451보다 작은 페이지라면 거기서부터 뒷부분을, 451보다 큰 페이지라면 앞부분을 찾아볼 것이다.

이런 방법을 반복하는 탐색 방법이 이진 탐색이다.

binary search

이 방법은 데이터의 양이 늘면 늘수록 풀 테이블 스캔과 검색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차이가 난다. 데이터의 수가 배로 늘어나더라도 비교 횟수는 1회밖에 안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진 트리(binary tree)

이진 탐색은 검색 속도가 빠르지만 데이터가 미리 정렬되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테이블 내의 행을 언제나 정렬된 상태로 두는 것은 힘들다.

이는 삽입이 발생할 경우에도 매번 재정렬이 필요함을 추측해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에 인덱스를 작성하면 테이블 데이터와 별개로 인덱스용 데이터가 저장장치에 만들어진다.

트리는 노드(node)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트리 중에서 두 개의 가지로 분기하는 구조를 이진 트리라고 한다.

binary tree

3. 유일성

만약 이진 트리 내에 같은 값을 가지는 노드가 여러 개 있을 때는 어떻게 하면 될까?

이진 트리에서는 집합 내에 중복하는 값을 가질 수 없다. 노드의 가지는 작은 쪽과 큰 쪽으로만 나누어지고, 같은 값이 있다면 새로운 가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노드에 같은 값을 가질 수 없다는 키에 대하여 유일성을 가지게 할 경우만 유용하다.

그래서 기본키 제약을 이진 트리로 인덱스를 작성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많은 것 같다.

정리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검색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만큼 검색에 대한 최적화는 성능 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어떤 열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많이 검색하는지 생각해보고 해당 열을 인덱스로 설정한다면 검색을 하는 데 있어서 많은 이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